본문 바로가기
Web

구글 애널리틱스 보고서 종류

by IT초보 2020. 6. 3.

 

 

구글 애널리틱스 보고서

 

구글 애널리틱스는 자동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데이터를 쉽고 편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보고서를 제공한다.

보고서 종류는 실시간 개요 보고서, 잠재고객 개요보고서, 사이트 콘텐츠 보고서, 인기 이벤트 보고서

목표 개요 보고서, 모든 캠페인 보고서 등 다양한 보고서가 있다.

이 보고서를 분석하면서 사용자가 어떤시간대에 어느 페이지에 접속했는지를 확인할 수있다.

 

 

구글 애널리틱스 주 사용자

 

1.마케터

마케터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각종 요소를 이용해서

어떤 상품을 마케팅 할 것인지 어떤 대상에게 마케팅을 진행할지

어디에 마케팅을 진행할 지에 대해서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분석 툴을 이용하여 마케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예)사용자 연령 등을 확인 후 주 구매 연령 대상으로 마케팅 진행

 

2. 기획자

기획자는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해 사용자가 실제로 홈페이지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작 페이지에 접속하면 바로 회원가입 페이지에 접속하는지,

장바구니 버튼과 위시 리스트 버튼중 어느것을 누르는지 확인 가능하다.

이를 바탕으로 웹페이지를 개선 하여 고객 유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3. 디자이너

디자이너는 기본적으로 기획자와 같은 목표로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는데 자신의 디자인이

실제 사용자 행동을 불러일으키는지 비즈니스 목표에 부합하는지 파악이 가능하다.

 

4. CEO

CEO는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해 DAU,MAU와 같은 사용자 지표를 확인 할 수있다.

 

*DAU(Daily Active Users)

하루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한 이용자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보통 게임에서 해당 서비스를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실제로 이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중에 하나로 활용한다.

특히, DAU는 페이스북 소셜게임등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왔는데 기존에 활용되던 MCU같은

수치보다 더욱 정확하게 서비스의 성공을 나타내어주는 특징이 있다.

또한 DAU를 측정하면서 변화하는 추이를 지켜보면 유저들의 이용 패턴을 연구하는데 적잘하고

단기 이벤트에 대한 유저들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것이 장점이다.

 

*MAU(Monthly Active Users)

한달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한 이용자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MAU는 순수 방문자수를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해당 기간동안 여러 번 서비스를 이용했더라도

한명으로 집계해야 한다.

페이스북등에서는 유저가 게임 시작 화면을 볼 때 집계하거나 모바일 게임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집계하는 식으로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에서 집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보고서별 용도

1.실시간 개요 보고서 

홈페이지의 실시간 상황을 파악한다.

 

2.잠재고객 개요 보고서

사용자의 홈페이지 이용상황을 분석한다. 

 

※ 잠재고객 보고서의 주요 항목별 내용

1)사용자

홈페이지 사용자 수를 나타낸다.

 

2)신규 방문자

홈페이지 사용자 중 신규사용자의 수이다. 웹페이지 총 방문자 10명 중

처음 접속한 사람이 2명이면, 신규 방문자수는 2명이다.

 

3)세션

사용자의 홈페이지 사용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GA는 사용자의 방문에서 부터 마지막 행동의 30분 뒤를 한 덩어리로 묶어 세션으로 측정한다.

 

4)사용자당 세션 수

사용자당 평균 홈페이지 사용 세션 수를 나타낸다.

 

5)페이지뷰 수

전체 사용자의 페이지 조회 수를 나타낸다.

 

6)세션당 페이지 수

세션당 평균 페이지 조회수를 나타낸다.

  

7)평균 세션시간

세션당 평균 홈페이지 이용시간을 나타낸다.

 

8)이탈률

한 페이지만 보고 나가는 사용자의 비율

 

9)New Visitor

기간 내 홈페이지 처음 방문한 사용자 수를 나타낸다.

 

10)Returning Visitor

기간 내 홈페이지 재방문 사용자 수를 나타낸다.

 

 

3.사이트 콘텐츠 보고서

사용자가 어떤 페이지에 많이 접속하는지 분석한다.

 

※ 사이트 콘텐츠 보고서의 주요 항목별 내용

1)페이지 뷰 수

해당 페이지의 조회 수를 나타낸다.

 

2)순 페이지 뷰 수

해당 페이지의 순 조회수(중복 제외 페이지뷰 수)를 나타낸다.

 

3)평균 페이지에 머문 시간

해당 페이지의 평균 사용시간

 

4)방문 수

해당 페이지로 홈페이지를 방문한 수

 

5)이탈률

해당페이지로 홈페이지를 처음 방문해 해당 페이지만 보고 나가는 비율

 

6)종료율

해당페이지에서 홈페이지를 종료한 비율

 

7)페이지 값

페이지에 설정한 현금 가치의 합.

 

홈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가 한 페이지만 보고 나가는 경우 이탈률이 증가하게 된다.

시작 페이지에서 이탈률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은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더 볼것이 없다고 판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에서 홈페이지를 떠나면 종료율이 증가한다.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종료율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은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진행하다가 홈페이지를 떠난다는 것이고

회원가입 절차가 어렵게 느껴져서 종료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점을 점검, 보완해야 한다.

 

 

 

4.인기 이벤트 보고서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하는지 분석한다.

 

이벤트보고서 항목별 내용

1)총 이벤트 수

해당 이벤트의 총 수

 

2)순 이벤트 수

해당 이벤트의 순 발생 수(중복 제외 이벤트 수)

 

3)이벤트 값

이벤트에 설정한 가상의 현금 가치의 합

 

4)평균 값

이벤트 값을 총 이벤트 수로 나눈 값

 

5.목표 개요 보고서

홈페이지 운영 목적의 달성 현황을 파악한다.

 

6.모든 캠페인 보고서

사용자가 어떤 링크를 통해 접속하는지 분석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