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선택자(Selector)
선택자는 웹페이지의 제목, 문단, 링크, 목록, 이미지 등의 HTML 요소들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 태그 선택자
● 아이디 선택자
● 클래스 선택자
● 태그와 함께 쓰는 선택자
1)태그 선택자
p {
text-align: center;
color: red;
}
2)클래스 선택자
.center {
text-align: center;
color: red;
}
3)아이디 선택자
#center {
text-align: center;
color: red;
}
4)태그와 함께 쓰는 선택자
p.center {
text-align: center;
colorL red;
}
※ Class 선택자와 id 선택자
class 선택자와 id 선택자는 XHTML 요소에 class나 id 속성을 부여한 경우 class명 이나 id명으로 접근하여 선택할 때 사용한다.
class 명은 여러번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요소들을 한꺼번에 선택하여 일관된 스타일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정 id 값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요소에 접근해서 스타일 지정시 id선택자 형식을 사용할수 있다.
선택자로 사용할 때 class명이나 id명 앞에 요소명을 지정하여 스타일의 적용 범위를 제한하거나 요소명을 생략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형식
class 선택자
.class명 { 속성 : 값 ; }
.note { color :blue ; }
id 선택자
#id명 { 속성 : 값 ; }
#gnb { list-style-type : none ; }
속성(attribute) 선택자
XHTML 요소가 특정 속성명이나 속성값을 가진 경우 해당 속성명으로 접근해 스타일을 적용하는 선택자 방식이다.
요소명[속성명] : a 요소에 target 속성이 있는 경우
a[target] { background-color:yellow; }
요소명[속성명="값"] : a 요소에 target 속성의 값이 _blank인 경우
a[target="_blank"] { background-color:yellow; }
요소명[속성명~="값"] : a 요소에 class 속성의 값이 공백문자로 구분하여 여러 개 있는 경우
a[class~="new"] { background-color:yellow; }
요소명[속성명|="값"] : a 요소에 class 속성의 값에 하이픈(-)이 포함된 경우
a[class|="new"] { background-color:yellow; }
요소명[속성명^="값"] : a 요소에 href 속성의 값에 http로 시작하는 경우
a[href^="http"] { background-color:yellow; }
요소명[속성명*="값"] : a 요소에 href 속성의 값에 www가 포함된 경우
a[href*="www"] { background-color:yellow; }
가상요소와 가상 클래스
가상요소 선택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요소를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이용하는 방법이다.
가상 요소 선택자를 이용하면 콘텐츠 영역의 앞이나 뒤에 가상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
가상 클래스 선택자는 스타일을 적용하는 대상을 요소나 속성, 속성 값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이다.
가상 클래스에는 a:link, a:visited, a:hover, a:active등이 있다.
형식
1)가상요소
요소명 : 가상 요소명 { 속성 : 값 ; }
p:first-line { color : blue ; }
p:first-letter { color : red ; }
p:before { content : "문단 시작"; }
p:after { content : "문단 종료"; }
2)가상 클래스
요소명 : 가상 요소명 { 속성 : 값 ; }
p:first-child { color : green ; }
a:link { color : blue ; }
a:visited { color : purple ; }
a:hover { color : orange ; text-decoration: underline; }
a:active { color : red ; text-decoration: underline; }
a:focus { background: #fcf ; }
선택자 조합
선택자들의 적용범위에 따라 하위선택자, 자식 선택자 , 인접 형제 선택자로 구분할 수 있다.
1)하위 선택자(descendant selector)
상위 요소가 포함하는 모든 하위 요소에 스타일을 지정시 사용.
형식
선택자 선택자 { 속성: 값; }
div p { color : gray; }
2) 자식 선택자(child selector)
부모요소 바로 다음에 있는 자식의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익스플로러 6같은
구버전의 웹브라우저에서는 지원하지 않음
형식
선택자 > 선택자 { 속성 : 값; }
div > p { color :gray; }
3)인접 형제 선택자(adjecent sibling selector)
인접 형제 선택자는 계층 구조로 접근했을때 처음 등장하는 요소를 형요소
뒤에 등장하는 요소를 동생 요소라고 본다. 동생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한다.
익스플로러 6같은 구버전의 웹브라우저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형식
선택자 + 선택자 { 속성 : 값; }
h1 + h2 { color : gray;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서정보 지정하기 (0) | 2020.05.29 |
---|---|
XHTML의 구성요소 (0) | 2020.05.29 |
CSS의 서식 및 적용 (0) | 2020.05.29 |
인라인 프레임과 개체 삽입 및 그룹화 요소 (0) | 2020.05.28 |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란? (0) | 2020.05.28 |
댓글